자작일기
 왕초보 게시판
 Amplifier 자작
 Speaker 자작
 Tannoy Westminster
 기타 자작
 Utility/Tip
 LP 이야기
 나의 Audio
   
   
 
작성일 : 04-09-15 11:40
[질문] 증폭률과 전압 계산이 어렵군요.
 글쓴이 : 파란 메아리
조회 : 1,932  
안녕하세요 수원에 파란메아립니다.

얼마전 xxx사운드에서 케이스와 트랜스 일체를 구입하고
사장님께 회로도를 보여드렸습니다.
사장님 말씀...
"이건 이래서 이렇게 고치고, 요건 요래서 요렇게 고치고..."
저는 감사한 마음에 잘 듣고 적어 왔지만...
와서 다시 보니 어렵군요.

제가 만드는 회로는 초단은 12au7 2단 증폭을 하고 출력단은 6v6PP입니다.

그래서 질문 올라갑니다.^^

1. 증폭률 문의
이렇게 인티로 사용하기 어렵다고 해서 Power로 사용할려고 합니다.
보통 프리아웃이 예전에는 100mV인데 요즘은 0.5V라는 말이 있던데...
파워 입력 전압을 어느 정도로 보고 설계를 해야 하는지요?
즉 12au7 2단 증폭에서 각각의 증폭률을 어느정도 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2. 전원부 전압계산문의
인터넷에 계시된 설명들을 보면 정류해서 나오는 전압이 365V이고
초단 전류가 100mA, 출력단이 10mA니까 저항1을 지나면 345V가 되고
저항2를 지나면 289V가 되고...
이런 설명이 있습니다. 그런데 각단(B1, B2)으로 흘러들어가는 전류의
양을 어떻게 선정해서 B전압을 계산해야 하는지 어딜 찾아봐도 없군요.
저의 검색실력이 미비한 가 봅니다.

현재 전원변압기의 출력은 340VAC이고 초단의 B전압은 270V,
출력단의 B전압은 345V 생각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때 초크코일을 지나 저항값을 어떻게 선정해야 하는지요?
전류를 알면 될 것 같은데 전류를 선정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추석때까지 소리를 들어보고 싶은 마음이 너무 간절하여 장문의 질문 올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모르니 약이 아니고 참 답답하군요. ^^


모찌 04-09-15 12:05
 
  파워의 입력은 1V정도를 기준으로 출력계산도 하고 하던데요.
초단에 바이어스가 깊은관을 사용하면 프리의 출력부분을 많이 이용해도 됩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론 2~3V정도의 스윙전압을 기준으로 하는게 너무 높은게인으로
고생하지 않는다구 생각합니다.

12AU7의 게인은 일반 저항으로 로드를 사용할경우 뮤=17이니까..
이득은 15정도의내외가 됩니다.
[관의 특성규격참조 : <a href=http://tdsl.duncanamps.com/tubesearch.php] target=_blank>http://tdsl.duncanamps.com/tubesearch.php] </a>

전류의 량은 위의 사이트등에서 사용진공관의 특성과 동작점을 확인하고
그 동작점에 따라 전압과 전류를 계산한다음 여유치를 두고 전원트랜스를
감아야 합니다.

또한 전압의 변동은 각 부품의 DCR에 관계된것이니 DCR을 알고 있으면
전압강하또한 전류량에 비례하는것이므로 쉽게 계산이 되는거죠.

전원트랜스의 고압이 340V이면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DC470V
5AR4같이 효율이 높은 진공관의 경우는 440V 5Y3 5R4 5V4G같은 중급
진공관의 경우는 420내외의 전압이 첫번째단에 달아주는 콘덴스의
용량에 따라 약간의 가감이 있게 출력됩니다. 그리고 하나하나 계산해나가야죠

전류는 진공관을 동작시키는 동작점을 알아야 계략이라도 .. 그다음 계산을
할수 있는대요.
파란메아리 04-09-15 12:38
 
  정말 감사드립니다. 모찌님 ^^ 
말씀하신 동작점이라 것이 로드라인 상에서 잡은 동작점에서의 전류를 말씀하시는 것인지요?
예를 들면 초단 2단 증폭에서 12AU7하나는 동작점을 EP=75V, Ip=2.5mA,Vg=-2.7V로 잡았고, 다른 하나는 Ep=180V, Ip=2mA, Vg=-10V로 잡았다면 초단 B전압 270V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은 2.5mA+2mA =4.5mA로 잡으면 되는 것인지요?
파란메아리 04-09-15 12:41
 
  그리고 6V6 PP 출력단에서 6v6PP B전압(345V)에서 사용되는 전류량은 6V6PP 두개가 서로 Push-Pull의 관계이므로 하나의 6v6 진공관의 동작점에서의 전류를 잡으면 되는 것인지요?

참고로 회로는 회로도DB에 Pilot-AA920회로입니다.
초이 04-09-15 18:18
 
  전류 대목 다 맞습니다.  전압 정류관에서 초코트랜스 들어가지 전 콘덴서 용랑이 적을 수록 쵸크를 지난 최종B전압값은 감소됩니다. 그 콘의 용량이 커지면 종B전압은 증가되나....정류관마다 스펙을 찾아보면 그 콘덴서 최저 허용값이 적혀있읍니다. 무부하와 관다꼽은 부하시가 다르기에 저항값으로 조금씩 맞춰나가야합니다.
 
 

Total 3,68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46    [6L6 PP] 밑면 (1) 모찌 09-11-04 1938
2645    [자작] [re] 새잡이 식 6sn7 linestage--회로 그리기 실수로 다시올림 (7) 새잡이 06-04-28 1937
2644 [자작] 26에 5687 캐소드 팔로워.. (14) 중생 10-01-26 1936
2643    [질문] [re] 바이앰핑 관련 문의드립니다. (7) 비틀즈 13-02-21 1936
2642    [도자300B] 파워부 시뮬레이션 도자 04-03-15 1935
2641 [자작] [300B] KR300B와 sowter SE17입니다. 모찌 14-01-01 1935
2640 [자작] 자작 에어 톤암 (5) metaphor 08-02-19 1934
2639 [자작] 이렇게 듣고 있습니다. (7) 하영하민 11-09-16 1934
2638 [질문] 증폭률과 전압 계산이 어렵군요. (4) 파란 메아리 04-09-15 1933
2637 [질문] 출력트랜스 바꾸고...전원 off시 퍽 소리가 납니다. (4) 암꺼나 08-06-24 1933
2636 [질문] 프리의 볼륨 조절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소리가 큽니다. 조치를 어찌해야 하는지요? (3) 초이 12-04-01 1933
2635 [막대기 300B(발판 시리즈(1))] 2A3 PP (1) 12-07-25 1933
2634 [자작] [300B] 전원 시뮬하나 (3) 모찌 13-12-21 1933
2633 [중생 다이나코ST35] 6DZ7 PP 풀차동으로 마무리 (21) 중생 07-08-20 1931
2632 [815 PSE] [815 pse]만들기(1) (2) 나루터 04-07-05 193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배너광고/월 15만원
Copyright ⓒ 2002~2022 Simpletub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Simpletube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와 [개인정보 보호방침](입금계좌 농협 578-02-035576 김용민)
꼼방 운영자 허브 hub004@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