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일기
 왕초보 게시판
 Amplifier 자작
 Speaker 자작
 Tannoy Westminster
 기타 자작
 Utility/Tip
 LP 이야기
 나의 Audio
   
   
 
작성일 : 05-05-30 16:34
[질문] 실온에서 저항의 발열로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치는??
 글쓴이 : 뚝배기
조회 : 1,645  
상온에서 진공관 플레이트에 메단 저항에 전류가 흘러 가열되어
온도가 서서히 올라간다면,
그 저항의 수치가 처음보다 올라갈까요, 아니면 떨어질까요?

어제 저녁 꼼방에서 재미난 논쟁이 있었습니다.
직접 실험까지 하여 확인하였는데,
결론은 ??


모찌 05-05-30 16:58
 
  권선저항과 피막저항이 각각 반응이 다르게 나올것 같읍니다만..
뚝배기 05-05-30 17:12
 
  새로운 의견이??
鳥頭 05-05-30 17:16
 
  주변의 온도가 올라가는것은 학실합니다
뚝배기 05-05-30 17:18
 
  냄새도 나더라구요. 막대기님 프리에서요..ㅎㅎ
케디스 05-05-30 17:26
 
  일반적으로쓰는 저항(피막, SMD)은 저항이 작아집니다. 재본건 아니지만....그리알고 여태 밥먹고 있습니다.
뚝배기 05-05-30 18:18
 
  fhxjtm님 실험으로도
저항치가 낮아지더군요.
그걸 남녀관계로 이야기하던데,
둘 사이가 불붙으면....(이하 생략 각자 상상바랍니다..ㅎㅎ.)
rmflqj 05-05-30 18:46
 
 
 예 - 상상중입니다--
 
 
05-05-31 10:00
 
  너무 뜨거워도 문제 생깁니다. 무언가 시끄러워짐 -- + - 사이에서

적당히 따땃하게.... enjoy please
젤빨강 05-05-31 11:10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의 운동이 빨라지고
따라서 저항도 낮아질꺼라 상상해 봅니다.
05-05-31 11:16
 
  그날 면봉님이 검새한 결과

온도가 올라가몬
 도체 -- 저항 증가
 반도체, 절연체 --저항 감소

우리가 사용하는 저항은 절연체? 누구 아시는 분?
나루터 05-05-31 12:04
 
  이 문제 엄청 어려운 문제임........ㅎㅎ
저항은 그냥 저항일 뿐?......ㅋㅋ
도체:저항 성분이 거의 없는것.
반도체:저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하다가 옆에서 누군가 도와주면 도체로 변하는거?
절연체:말 그대로 전혀 흐르지 못하는거.
저항:못가게 막으려 사용은 하지만 그렇다고 전혀 못가게 하지도 않음.(애메모호 한 넘)
....이거 되게 어려운 문제임엔 틀림없지요?

여하튼 저항은 열 받으면 일단은 약해 집니다.
해서 저항이 타거나 하면 저항만 죽는게 아니라
주변에 있는 반도체에도 치명상을 입히게 되지요.
만약 저항이 열받아 절연체에 가까워서 흐르는 양이 적어지면
반도체는 안전해질 겁니다.
이상 사족한마디.......이거 맞나?.에쿵*&*)^&^%^*$*^$%&#
mudd 05-06-01 10:59
 
  우선 저항이 생기는 원인을 생각해 봅시다.

저항은 전도전자들이 도체 내부를 이동하며 도체 내부의 불순물 원자, 결정격자의 결함,
결정격자의 진동 등에 부딪히게 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때 온도가 오르거나 내려가도 변하지 않는 요소인 불순물의 농도, 결정격자의 결함은
저항체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그러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결정격자의 진동의 세기는 저항의
온도 의존성을 줍니다.

금속이 저온에서 저항이 고온에서의 저항보다 작은 이유는 대체로
이 격자진동과 연관이 있기 때문입니다.

저항으로 사용하는 물질은 전도성이 좋지않은 금속 (poor conductor)를
사용하기에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같이 증가할 것입니다.

즉, 온도가 올라가면 격자진동의 세기가 커져 전도전자와 결정격자와
더 빈번히 충돌하게 되어 저항이 더 커지며 발열이 더 일어나게 되고,
급기야 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젤빨강님 완벽하게 틀림)

---------------------------------

순수한 반도체의 경우 부도체입니다.
그러나 고온에서는 원자가 대역 (valence band) 의 전자들이
열적으로 들뜨게 되어 전도띠 영역(conduction band)에 올라가게 되고,
이러한 전자들에 의해 전기 전도가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순수한 반도체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원자가 대역의 전자들이 전도띠 대역으로 들뜰 확율이 증가하고
이에따라 저항이 감소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순수한 반도체의 경우 상온 저항은 매우 큽니다.

도핑을 하여 전도띠 대역에 어느정도 전도전자가 존재하는 불순물 반도체의
경우 역시 온도에 따라 전도전자의 수가 변화합니다.

이에따라 반도체의 경우 저온에서 저항이 매우 크고 고온에서 저항이 줄어듭니다.

저온에서는 특히 작은 온도 변화에도 저항이 수직 상승을 하기 때문에 10K (-263도) 이하의 극저온을
측정하는데는 반도체가 제격입니다. 

고온에서는 반도체의 저항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반도체를 온도센서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금속선의 경우 선재 양단에 온도 차이가 생기는 경우 전위차(thermopower)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thermocouple을 만들어 온도 센서로사용합니다.

 
 

Total 3,681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41    [자작] [re] Raven 프리 개조된 사진 (1) 素心 05-05-24 1328
2540 [중생 다이나코ST35] 요즘 지름신이 강림하신다던데.. (15) 중생 05-05-24 1478
2539    [자작] [re] No R, No C 421-PP ==> [인터스테이지] (2) 이재경 05-05-24 2726
2538       [질문] [re] 우쨌던 소리는 납니다. (8) 새잡이 05-05-24 1217
2537 [질문] 전 싼맛에 질렀는데요... 이거 U7 맞지요? (2) 케디스 05-05-25 1249
2536 [영혼을 사로잡는 26?] 어제 오늘 영혼을 감동먹었읍니다. (9) 새잡이 05-05-25 2402
2535    [자작] [re] 이렇게 말이지요? (7) 素心 05-05-25 1674
2534       [질문] [re] 26 히터 전압 1.2볼트 (3) 새잡이 05-05-25 1372
2533 [중생 다이나코ST35] 중생님! 질문있습니다. (4) 초이 05-05-25 1319
2532    [자작] [re] No R, No C 421-PP ==> [임피던스 매칭] (3) 이재경(J) 05-05-26 1759
2531 [질문] 산스이 1000A 출력트랜스스펙을 아려주세요 (2) 수구리 05-05-28 1690
2530 [막가표 발판 시리즈(2) 2A3/45] 막표 밥상뿌리 소리나다 (4) 05-05-28 1601
2529    [막가표 발판 시리즈(2) 2A3/45] 험-- 막표 밥상뿌리의 문제 (3) 05-05-30 1249
2528       [막가표 발판 시리즈(2) 2A3/45] 발열 줄이는 또하나의 방법 -- 전류량 줄이기 (7) 05-05-30 1562
2527 [질문] 실온에서 저항의 발열로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치는?? (12) 뚝배기 05-05-30 1646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배너광고/월 15만원
Copyright ⓒ 2002~2022 Simpletub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Simpletube
[이메일 무단 수집거부]와 [개인정보 보호방침](입금계좌 농협 578-02-035576 김용민)
꼼방 운영자 허브 hub004@gmail.com